안녕하세요. 제이제이파트너스 대표 백곰 사령관입니다.
미국현지시간 2월4일 한국시간 2월5일 미국증시 시황 정리해 보겠습니다.
오늘하루 시장은 어떻게 움직였는지 생각해 보고 정리해보길 바랍니다.
미 증시 개요
무역분쟁 이슈와 고용지표 부진 속에서도 상승 마감
무역분쟁: 미국이 중국에 대한 관세를 발효한 가운데, 중국도 미국 일부 품목에 관세를 부과하며 긴장 고조.
다만 중국이 ‘광범위 관세’가 아닌 ‘일부 품목’에 한정했다는 점에서 완화 가능성도 시사.
피터 나바로 백악관 무역 고문이 “트럼프 대통령과 시진핑 주석 간 전화통화가 있을 것”이라고 언급해 시장의 기대 심리가 상승 요인으로 작용.
장중 “전화통화가 없을 것”이라는 보도가 나와 지수가 잠시 흔들렸으나, 트럼프 대통령이 “시진핑 주석과 통화는 적절한 시기에 할 것”이라고 재차 언급하면서 낙폭을 회복.
고용지표 부진
미국 구인 건수(JOLTS)가 이전치(815.6만 건) 대비 큰 폭(760만 건)으로 감소(약 55.6만 건 감소).
고용인원은 550만 명, 고용률은 3.4%로 큰 변화 없으나, 전문·비즈니스(-22.5만 건), 교육·의료(-19.4만 건), 금융·보험(-13.6만 건) 등에서 구인이 줄어든 것으로 나타남.
금요일 발표될 고용보고서(비농업부문 고용지표)에 대한 시장 불안이 있으나, 달러 약세 및 국채금리 하락은 주가에는 우호적으로 작용.
증시 마감
다우지수 +0.30%, 나스닥 +1.35%, S&P500 +0.72%,
러셀2000 +1.41%, 필라델피아 반도체지수 +1.05% 등 전반적인 상승 마감.
섹터·이슈별 동향
반도체·기술주
엔비디아(NVIDIA): +1.71% → 미-중 통화 기대감과 최근 하락에 따른 기술적 반등으로 상승.
독일 반도체 제조사 인피니언이 연간 매출 전망을 ‘감소→약간 증가’로 상향 조정하며
유럽 반도체 관련주가 급등한 점도 긍정적 영향.
TSMC(+2.13%), ARM(+4.21%), 브로드컴(+2.16%),
퀄컴(+1.64%), 마이크론(+0.82%) 등 반도체주 전반 상승.
필라델피아 반도체지수는 +1.05% 마감.
AMD →장중 실적 발표(매출 상회, EPS는 예상 부합)에도 데이터센터 부문이
예상치를 다소 하회해 장 마감 후 시간 외 거래에서 약 2% 하락.
전기차 및 2차 전지 관련주
테슬라(TSLA): +2.22% → 미국 캘리포니아·유럽 판매량 감소 소식에도 불구하고,
미-중 통화 기대감 및 관세 연기 가능성 등에 힘입어 반등.
리비안(+3.87%), 루시드(+4.32%) 등 신생 전기차 업체 상승세.
퀀텀스케이프(+2.01%), 앨버말(+2.52%), 리튬 아메리카(+6.62%) 등
2차 전지주 역시 중국 탄산리튬 가격 상승 소식으로 동반 강세.
기존 완성차/부품 업체
GM(+1.40%), 포드(+2.73%), 스텔란티스(+4.12%) 등
전통 완성차 기업 및 마그나(+1.64%), 리어 코퍼(+2.07%), 애디언트(+3.11%) 등 부품주도 전반적 상승.
대형 IT·플랫폼 기업
애플(AAPL): +2.10% → 전날 하락을 뒤로 하고 미-중 통화 기대감에 상승 전환.
아마존(AMZN): +1.95% → 중국 저가형 앱/플랫폼(Shein, Temu)들이 무역 분쟁의 직접적인 타격을 받을 경우,
아마존이 반사이익을 볼 것이라는 전망에 상승세 지속.
메타(Meta): +0.96% → 스마트 안경 매출 확대 및 올해 AR/VR 분야에 200억 달러 투자 계획 발표에 따라 상승.
MS(Microsoft): +0.35% → 클라우드 매출 둔화 우려가 이어지는 가운데 보합권 소폭 상승.
알파벳(Alphabet, GOOGL): +2.50%로 장 중 마감, 그러나 시간 외 거래에서 -6%대 급락
분기 매출(특히 클라우드 매출)이 예상치를 하회하고,
2024년 자본 지출이 시장 전망(약 580억 달러)보다 큰 약 750억 달러로 발표되며 투자 부담이 부각.
중국 기업주
알리바바(+3.79%), 핀둬둬(+8.37%), 징둥닷컴(+2.82%) 등 전자상거래주 상승.
니오(+2.57%), 샤오펑(+8.29%), 리오토(+5.99%) 등 중국 전기차주도 강세.
미국 관세 부과에도 중국 측 보복관세가 일부 품목에 한정된 점, 추후 미-중 통화 기대감이 투자 심리를 지지.
AI 관련주
팔란티어(PLTR): +23.99% → 양호한 실적과 향후 AI 적용 사업 전망을 발표하며 급등.
이에 따라 C3.ai(+8.20%), 사운드하운드AI(+10.32%) 등 AI 활용 소프트웨어 주식들도 상승.
앱시코프(+17.57%), 깅코 바이오웍스(+11.21%) 등 AI·바이오테크 융합업체들도 급등.
제약·바이오 및 헬스케어
모더나(-6.51%), 화이자(-1.26%), 바이오엔텍(-2.24%)
미국 내 ‘백신 회의론’ 인사가 상원 재무위원회 인준 투표를 앞두고 있어 부정적인 여론이 부각, 관련주 하락.
비만 치료제 관련
일라이 릴리(+1.93%), 바이킹 테라퓨틱스(+2.70%)는 장 초반 하락 후 금리 하락 등에 힘입어 반등.
노바티스 CEO의 “비만치료제 신규 진입 장벽이 높아 M&A 방식을 고려” 발언이 해당 섹터에 긍정적으로 작용.
머크(Merck): -9.07% → 분기 실적과 가이던스(특히 가다실 매출 부진)가 시장 기대에 미치지 못해 급락.
소비재·음료 업종
펩시코(-4.51%)
분기 매출 부진, 연간 이익 전망 하회, 미국 시장 내 탄산음료 등 수요 둔화로 주가 급락.
코카콜라(-1.07%), 큐리그 닥터 페퍼(-3.87%), 몬스터베버리지(-1.87%) 등 음료 섹터 전반이 약세 동반.
에스티 로더(Estée Lauder): -16.07% → 실적 부진, 인력 감축 계획 발표로 투자 심리 위축.
결제·핀테크
페이팔(-13.17%) → 실적 자체는 예상 상회, 150억 달러 규모 자사주 매입 계획도 발표했으나, 조정 실적이 가이던스를 밑돌고 다음 분기 전망 역시 기대에 미치지 못해 급락.
에너지·기타
엑손모빌(+2.68%), 셰브론(+2.60%) → 트럼프 대통령의 이란 제재 복원 언급으로 국제유가가 상승, 에너지주도 동반 강세.
폭스(FOX): +4.80% → 예상보다 양호한 실적과 연내 자체 스트리밍 서비스 출시 계획이 긍정적으로 작용.
루멘테크(Lumen Technologies): +3.49%, 시간 외 +6% 이상 급등
시장 예상을 웃도는 실적, 자본지출 계획 발표로 투자심리 개선.
엔페이즈 에너지(Enphase Energy): +3.66%, 시간 외 +13% 급등
태양광·에너지 저장 솔루션 수요 확대 기대에 힘입어 실적 발표 후 상승
스냅(Snap): +3.85%, 시간 외 +9% 상승 → 광고 매출 개선 기대감, 비용 절감 방안 등에 대한 긍정적 전망 반영.
정리 및 시사점
●무역분쟁
미국과 중국 간 관세 시행으로 무역 전쟁이 공식화된 상황이나,
중국의 보복관세 범위가 제한적이어서 시장은 여전히 대화 가능성을 기대.
●증시 동향
고용지표 부진에도 불구하고 달러 약세, 국채금리 하락, 빅테크 실적 모멘텀 등이 주가를 지지.
●업종별
반도체·AI 섹터는 전반적 강세. 특히 팔란티어를 필두로 한 AI 관련주 주목.
전기차·2차 전지 섹터는 글로벌 정책 지원 기대감과 중국 리튬 가격 상승 등으로 견조한 흐름.
음료·화장품 등 일부 소비재 섹터는 실적 부진으로 약세가 두드러짐.
제약·바이오 섹터는 백신 회의론 이슈, 실적 등에 따라 종목별 희비.
무역분쟁 관련 뉴스 플로우(트럼프-시진핑 통화 시점·협상 내용)에 따라
변동성이 커질 수 있어 단기적인 뉴스 추적 필요합니다.
또한 AI·반도체 등 올해 시장의 핵심 테마에 대한 관심 지속 갖어야 합니다.
현재 실적 시즌 중이므로, 개별 기업의 실적 발표·가이던스 등에 유의 하셔서 투자 하셔야 합니다.
- 본 정보는 투자 권유가 아닙니다.
- 투자 결정은 본인의 판단과 책임 하에 신중하게 진행하시기 바랍니다.
- 투자에는 손실 가능성이 항상 존재합니다.
- 투자 전에 충분한 정보 수집과 전문가와의 상담을 권장합니다.
매일/매주 실시간 방송으로 구독자님, 회원분들과
소통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실시간 방송도 참여 하시고 좋은 정보로
주식시장에서 같이 공부 해요
일잘하는 기업 미래를 잘 준비하는 기업을 찾는일
주주누나 백곰사령관이 제일 잘하는 일입니다.
함께 공부해 수익내는 성공투자 할 수 있도록
파트너가 되겠습니다.
https://www.youtube.com/@jjpartners
'경제교실'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경제교실]델타 항공 vs 아메리칸 항공 _미국 항공주 투자 어디가 유리할까? (0) | 2025.01.23 |
---|---|
[경제교실]On Holding AG (NYSE: ONON): 글로벌 스포츠웨어 시장에서의 성장 가능성과 투자 전망 (0) | 2025.01.20 |
[경제교실]백곰이 24-25에 간다고 했던 조선주!! 삼성중공업·한화오션, 한화엔진 ,STX엔진 이유 알고 투자하세요. (1) | 2025.01.16 |
[경제교실] 트럼부 정부 출범임박! 에너지 독립 선언에 트럼프 정책관련 기업을 대하는 방법!! (0) | 2025.01.15 |
[경제교실] 월 1척 군함 건조! 미국의 대규모 프로젝트에 뛰어든 한화오션 (0) | 2025.01.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