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주식도 훈련이다 주린이교관 주주누나 & 주식사령관 백곰사령관 입니다.
오늘도 주주누나 실전투자와 백곰사령관 라이브 유튜브 채널에서
꾸준히 공부하고 있는 기업에 대해 알아 보겠습니다.
최근 VIP회원과 공부하고 수익을 내기위해 준비중인 기업이기도 합니다.
포스팅 해드리는 기업은 VIP회원과 유튜브 회원 모두 공부하고 있는 기업입니다.
방송에서 꾸준히 강의해 왔지만 추가적으로 공부 하고 가겠습니다.
투자의 책임은 본인에게 있습니다.
해당자료는 참고자료이며 투자의 선택은 신중하게 하시기 바랍니다.
유니퀘스트는 비메모리반도체 솔루션 공급사업을 영위할 목적으로
1993년 개인회사로 사업을 시작하여 1995년 11월 25일에 법인으로 전환 하였습니다.
이후 2004년 8월 5일 유가증권시장에 상장되어 현재까지 상장 유지되고 있습니다.
유니퀘스트는 해외 유수의 비메모리 반도체 제조사로부터
우수한 반도체를 국내시장에 공급할 수 있는 대리점계약을 통해
국내의 IT제조사 등 고객사들이 개발하고자하는 제품에 부합되는 반도체 뿐 아니라
기술지원, 교육 등 토탈솔루션사업을 영위하고 있습니다
전세계 반도체 시장은 아래와 같이 복잡하게 구성되어 있습니다.
●종합반도체업체 :설계와 제작을 동시에 수행하는 종합반도체 기업
→ Intel 및 삼성전자, SK하이닉스
●Fabless ASIC & ASSP 전문업체
→Qualcomm, Broadcom, NVIDIA사
●외부 업체가 설계한 반도체 제품을 위탁 받아 전문적으로 생산·공급하는 파운드리업체 (Foundry)
→TSMC, UMC, 국내의 동부하이텍 등
●반도체 설계만을 전문으로 하는 등과 같은 전문적인 설계반도체 IP(Intellectual Property) 업체
→ARM사
●특정 지역 및 고객사를 대상으로 전문적인 영업 및 테크니컬 마케팅을 전문으로 하는 반도체솔루션 공급업체
→유니퀘스트
최근 메모리 반도체 산업의 트렌드로는
메모리 반도체에 편중된 국내 반도체 산업의 균형 있는 발전에 대한 관심
→ 성장 가능성이 높은 지능형 반도체 분야에 관심을 갖으며 사업영역을 확대 하기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지능형 반도체 : 장차 4차 산업혁명의 도래에 따라 지능정보사회 구현에 필수 요소 입니다.
국내 반도체 산업도 새로운 서비스 구현을 위해 지능형 반도체 초기시장 선점에 대한 노력과
Fabless(제품설계 및 개발) - Foundry(생산) - Packaging(상품화) - Test(검사)로
이어지는 구조에 따른 각 분야의 전문적인 업체들이 함께 생태계를 조성하는 것이 중요한 시점 입니다.
IBM, NVIDIA 등 해외기업 최근 동향
인공지능 칩 기술 개발에 박차를 가하고 있어 초지능-저전력에 관한 기술적 해결 방안을 모색중인 상황입니다.
유니퀘스트가 주력하는 시장은?
최첨단 비메모리 및 메모리 반도체를 이용하여 전자 IT 제품을 개발할 수 있도록 솔루션을 제공하고
이에 대한 기술 마케팅, 영업, 기술지원, 교육을 통한 관련 제품을 공급하는 전문산업분야 입니다.
반도체 제품별 구분 | ||
구분 | 주요제품 | |
메모리 반도체 | D램(SD램, DDR 등), S램, Flash Memory(NAND, NOR) | |
비메모리 반도체 | 시스템 반도체 | Processor, Logic IC, Analog IC, Micro Component |
기타(개별소자) | Discretes, Optical devices, Sensor & Actuators(구동장치) |
세계 D램 업체수 추이
10년뒤 10년뒤
1994년 25개 → 2002년 12개 → 2012년에는 3개
30년에 걸친 D램 대전에서 생존한 업체는 삼성전자, SK하이닉스, 마이크론
한국은 1990년 45억4100만달러 수출액을 기록해 처음으로 수출 비중 1위
D램 분야에선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가 세계 시장 점유율의 절반 이상을 차지하며 세계 시장을 주도하고 있습니다.
과거 D램 시장의 경쟁 구도는 `혼전` 양상이었습니다.
미국 인텔을 포함해 일본 NEC와 도시바, 독일 인피니언(키몬다를 분리, 이후 키몬다는 파산) 등
기라성 같은 업체가D램 시장에서 치열하게 경쟁했습니다.
그러나 한국 업체에 밀려 지금은 모두 관련 시장에서 철수했습니다.
(단위 : 백만 달러)
세계 반도체 시장의 시장조사전문업체인 가트너(Gartner)에 따르면
2022년의 전세계 반도체 매출은 전년보다 1.1% 증가한 6,017억달러를 기록할 것으로 예상 됩니다.
앤드류 노우드 가트너 연구 부사장은
"2022년은 반도체 공급 부족으로 시작하여 생산 리드타임이 길어지고 가격이 높아졌으며
이는 최종적으로 전자장치의 생산 감소로 이어졌습니다.
따라서 OEM 제조업체는 반도체 재고를 비축하여 공급 부족 위험을 대비하기 시작했습니다."
2022년 전체 비메모리 매출은
2022년에 전년대비 5.3% 증가했지만 성능은 장치 범주에 따라 크게 달랐습니다.
가장 큰 성장을 이룬 분야는 19% 증가한 아날로그 장치이며
15% 증가한 디스크리트 장치가 그 뒤를 따르고 있습니다.
아날로그 및 디스크리트 장치의 성장은 차량 전기화, 산업 자동화 및 에너지 전환의
지속적인 성장 추세의 혜택을 받은 자동차 및 산업시장의 강력한 수요로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출처 : 유니퀘스트 반기보고서>
반도체는 경기변동과, 계절성에 영향을 많이 받습니다.
세계 반도체 시장은 제품 수명 주기가 매우 짧으며,
새로운 제품의 생산을 위해서는 대규모 투자가 필요한 장치 산업의 특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DRAM의 주요 사용처
●과거→ PC 수요에 상당 부분 의존, 기업의PC교체 사이클의 영향을 크게 받아옴
●현재 → 스마트폰 및 태블릿PC 등 모바일 기기의 폭발적 성장에 따라 서버와 모바일로 분산되고 있음
eMMC와 SSD제품도 DRAM과 같이 스마트폰, 태블릿PC, 노트북/PC/Server/Storage/Flash Array 등의
다양한 제품에 장착되기 시작하며, 과거에 비해 경기변동성은 줄어들 것으로 예상됩니다.
유니퀘스트가 생산중인CMOS 이미지센서는 휴대폰, 캠코더, PC 등 멀티미디어 기기 시장의 영향을 크게 받는 제품으로
소비재의 특성상 경기변동과 기술변화에 민감할 뿐만 아니라 라이프 사이클이 짧은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미지 센서 시장은 스마트폰, DSLR 등 전통적인 수요처의 강세가 지속되는 가운데,
자동차용 블랙박스/후방카메라, 스마트TV 등 다양한 산업군과의 Convergence를 통해 시장이 더욱 확대되고 있음.
유니퀘스트의 매출액
당기 연결 포괄손익계산서상의 매출액은 전년 동기 대비 3.9% 감소한 3,226억원이며,
영업이익은 전년 동기 대비 24.7% 감소한 148억원 입니다.
당기순이익은 126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58.9% 감소하였습니다.
현재 반도체의 사용처가 휴대폰과 스마트폰 및 태블릿PC 등 모바일 기기쪽의
사업분야에 집중되어 있었다면
앞으로는 자동차와 개인 및 기업서버 드론 방산업쪽까지
무궁무진한 사업분야의 확장을 이룰 수 있다고 생각됩니다.
유니퀘스트가 주력하는 시장또한 최첨단 비메모리 및 메모리 반도체를 이용하여
전자 IT 제품을 개발할 수 있도록 솔루션을 제공하고
이에 대한 기술 마케팅, 영업, 기술지원, 교육을 통한 관련 제품을 공급하는 전문산업분야 입니다.
미래 산업의 발전을 선두하는 기업에 대해 공부해 봤습니다.
이런 기업 발굴과 주식 투자를 가장 잘 하는 유튜버는 주주누나와 백곰사령관 입니다.
함께 수익내고 경제적 자유를 얻을 수 있으면 좋겠습니다.
감사합니다.
'경제교실'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경제교실]삼성전자 핵심 전자부품을 개발,생산하는 기업_feat.삼성전기 (0) | 2023.09.04 |
---|---|
[경제교실]소형기어드모터개발생산기 개발제조기업_에스피지(SPG) (0) | 2023.09.04 |
[경제교실]AI의료기기,X-ray 보안 검색기 개발 업체_feat.딥노이드 (12) | 2023.09.02 |
[경제교실]2차전지용알루미늄,알루미늄압연산업 주목할 관련주_feat.DI동일 (22) | 2023.09.02 |
[경제교실]PCB산업 인공지능/자율주행/초고속 네트워크 반도체관련주_feat.대덕전자 (17) | 2023.09.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