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교실

[경제교실] K-방산의 수출, K-위성 수출 항공우주산업을 리드할 기업_한국항공우주

by 제이제이파트너스 2023. 10. 12.
728x90
반응형
SMALL

 

 

안녕하세요 주식도 훈련이다 주린이교관 주주누나 & 주식사령관 백곰사령관 입니다.


 

한국항공우주산업(주)은 지난 40년간 항공우주산업을 이끌었던

대한민국 대표 항공우주 체계종합업체입니다.

대한민국 안보와 항공전력을 책임 져왔으며,

현대 전장을 위한 첨단 소형무장헬기(LAH) 개발 성공에 더불어 미래 핵심 전력으로

꼽히는 KF-21(한국형 전투기) 체계개발에도 박차를 가하고 있습니다.

아울러 다목적실용위성, 정지궤도복합위성을 비롯해

국내 최초로 민간기업이 주관하는

차세대중형위성, 군정찰위성 개발에서 한국형 발사체 총조립까지

우주 사업 영역도 확대해 나가고 있습니다.

모든 투자의 책임은 본인에게 있으며 본 자료는 투자에 참고만 하시길 바랍니다. 

 

오늘도 기업리포트를 정리하며 공부해 보기로 하겠습니다. 

 

 

 


한국우주항공과 종속회사는 항공기, 우주선, 위성체, 발사체 및 동 부품에 대한

설계, 제조, 판매, 정비 등의 사업을 영위하고 있습니다.
군수사업의 대부분은 내수로 구성되며 수요자인 한국정부(방위사업청)와 계약을 통해

제품(군용기)의 연구개발, 생산, 성능개량, 후속지원 등을 수행하고 있습니다.
주요 제품으로는  KT-1 기본훈련기, T-50 고등훈련기, 수리온 기동헬기, 송골매 무인기 등이 있으며,

현재는 KF-21(한국형 전투기)와 LAH/LCH(소형무장/민수헬기) 개발 및 생산에 박차를 가하고 있습니다.

 

아울러 국내 최초로 민간기업이 주관하는 차세대 중형위성, 국방위성 개발사업으로 진출하였습니다.

또한, '14년부터는 한국형발사체 체계총조립을 수행하고,

핵심구성품인 1단 추진제 탱크를 제작하는 등 위성사업을 넘어

우주사업 전반의 기술역량을 확장해 나가고 있습니다.


제25기 반기말 기준 연결회사의 영업상황으로 매출액은 약 1조 3,022억원을 시현하였고,

이에 따른 순이익은 약 395억원을 시현하였습니다.

주요 매출처의 경우 별도재무제표 기준으로 당사의 방위사업청 등을 대상으로 한 내수 비율은 66.48%이며,

이 외에 인니, 이라크 등 완제기 수출국 6.23%, Boeing, Airbus, IAI 등이 27.29%로 매출처가 구성되어 있습니다.

보고서 작성일 기준 당사의 별도재무제표 기준 수주 잔고는 25조 199억원입니다.

 

 

(1) 항공산업시장의 특성

 

항공산업은 군용기의 경우 고객(군)의 수요 및 요구도(ROC)를 바탕으로

최적의 항공기를 개발, 생산하여 납품하고,

민항기의 경우도 특정고객의 수요를 예측하여 제품을기획하고,

선주문을 기반으로 제품을 개발, 생산, 납품하는 수주사업의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군수 시장 (국내 방산 및 군용기 수출)

 

한국우주항공은 국내 대표 방위산업체로서 군수사업의 대부분은 내수로 구성되며

수요자인 한국정부(방위사업청)와 계약을 통해

제품(군용기)의 연구개발, 생산, 성능개량, 후속지원 등을 하고 있습니다.

방산사업의 경우 다수의 계약이 원가보전방식(정산)을 통해 이루어지고

매년 국방예산 배정액 내 소요금액을 수령하여 개발과 생산에 투입하고 있습니다.

또한 군수 수출은 해외 국가를 대상으로 T-50, KT-1와 같은

국산 항공기 및 후속지원 서비스의 수출로서, 외국 정부와 계약하여

항공기를 고객 국가의 요구에 맞게 개발 및 생산하여 납품하고 있습니다.

한국항공우주는 1999년 회사설립 이후 항공우주산업개발촉진법,

방위사업법(舊 방위산업에 관한 특별조치법) 등에 따라

국내 항공기 시장에서 독점적 사업 지위를 유지하였으나

2008년말 방위산업 전문화/계열화 제도가 폐지됨에 따라

그간의 독점적 지위에 대한법적인 보호가 완화되었습니다.

그러나 대규모 설비 및 연구개발 투자가 필요한 항공산업의 특성상 높은 진입장벽을 감안할 때

국내 유일의 항공기 체계종합 및 제작 업체로서

한국항공우주의 국내 항공기 시장에서의 지위는 계속 유지될 것으로 전망됩니다.

 

한편, 2023~2027 국방중기계획에 따르면 국방비는 연평균 6.8%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고,

방위력개선비는 27.5%(총 107.4조원)까지 증가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특히 국방부는 방위력 개선을 위해 KUH 기동헬기 양산 전력화,FA-50 경공격기 양산/전력화를 하고,

상륙공격헬기 및 소해헬기 개발, KF-21 한국형 전투기를 개발중 입니다.

현재 보유중인 수주잔량 및 향후 군수사업의 중장기 계획 등을 감안할 때,

군수사업의 안정적 성장이 지속될 것으로 기대됩니다.

 

출처 한국항공우주 홈페이지

 

민수 시장 (기체구조물 수출 등)

 

한국항공우주가 수행하고 있는 민수사업의 대부분은 항공기 기체구조물 수출 사업으로

민항기 및 군용기 기체구조물을 제작하여 납품하고 있습니다.

기체구조물 수출 사업의 수요자(고객)는 미국의 Boeing, Lockheed Martin, Triumph(Vought),

유럽의 Airbus, 브라질의 Embraer 등의 핵심파트너인 일본의 KHI, FHI 등과 함께

미국, 유럽, 일본, 브라질의 항공기 제작사입니다.

향후 민항기 국제공동개발사업 참여 확대 및 고부가가치 기체구조물 물량의 신규수주 확대로

기체구조물의 수출 규모는 더욱 증가할 전망입니다.

그리고 한국항공우주는 우주사업의 일환으로

다목적실용위성, 정지궤도복합위성 등의 본체 및 핵심부분품을 설계, 제작하여

국내 우주사업의 총괄기관인 한국항공우주연구원 (KARI)에 납품하고 있고,

차세대 중형위성 개발사업의 주관업체로 참여하고

한국형 발사체(KSLV-2) 개발사업의 체계총조립 및 1단 추진제 탱크 제작하는 등

우주사업 전반의 기술역량을 확장해 나가고 있습니다.

 

 


(2) 회사의 영업 및 개발/생산 (영업전략, 개발/생산 개요)


항공기 시장 여건의 변화


① 민수 중심의 성장

 

1990년대 냉전 종식 이후 민항기 시장은 항공산업 성장의 견인차 역할을 해오고 있으며,

향후에도 군수의 비중은 상대적으로 감소되고 민수 중심의 성장이 예상됩니다.

전체 시장규모 측면에서 보면 민항기 시장이 군용기 시장 대비 5.6배 규모로,

향후 10년 이상 지속적인 성장이 전망됩니다.

향후 국내 및 세계 경제규모의 성장으로 인한항공 여객/화물 운송량의 증가와

이에 따른 항공기 신규/교체 수요가 시장의 안정적 성장을 견인할 것으로 보입니다.


② 국가별 전문영역으로 특화

 

항공선진국과 항공후발국들은 자국의 보유자원에 따라

전문영역이 차별화된 형태로산업구조를 발전시키고 있습니다.

즉 미국, 영국, 프랑스 등과 같은 선진국은 첨단 전투기 또는 대형 민항기 중심으로 성장하고,

이를 따르는 후발국들은 훈련기, 중소형 민항기 중심으로 성장을 모색하고 있습니다.


③ 국제공동개발 및 분업화

 

군수사업은 그간 국가경쟁력 유지를 위해 핵심기술에 대한 해외 협력 및 이전을 제한하고 있었으나,

국방예산 부족 등에 따른 환경 변화로 군용기의 개발/생산을 위한 최소 수요를 충족하기 위해서

국제공동개발 및 공동생산을 통해 투자의 합리화를 추구하고 있으며,

항공산업 육성 및 유지를 위해 국가 차원에서 수출시장을 확대하려는 노력중에 있습니다.

민수사업의 경우에도 항공기 개발 난이도 증가, 개발비 투자규모의 증가에 따른 위험분담을 위해

국제공동개발이 필연적이고 보편화된 상황이며, 완제기 업체들은 체계종합 및 최종조립에 역할을 집중하고,

핵심 협력업체(Tier 1)가 주익(Main Wing), 동체(Fuselage) 등

대형 구조물 단위로 개발비를 투자하여 설계/체계종합을 담당하고,

기체구조물을 제작하여 납품하는 글로벌 분업화 추세입니다.


④ 사업영역의 확대

 

과거 항공기 제작업체의 역할이 항공기를 개발/생산하는데 한정되었다면,

현재는 각업체들에게 납품한 항공기들에 대한 장기간의 후속지원 능력까지 요구하고 있습니다.

군용기의 경우 특히 항공기 정비/후속지원 업무영역이 각국의 군으로부터 점차 분리되고,

민간의 항공업체로 업무 위탁됨으로써 정부는 경쟁력이 높은 민간 자원의 활용으로

부족한 국방예산의 절감 및 효율성 제고를, 민간업체는 사업영역의 확대를 통해

매출과 수익의 제고를 도모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3) 시장점유율
방위산업 특성상 군수사업은 특정 무기체계에 대한 군의 확정소요를 기반으로 하는 장기 계약사업으로 한국정부(수요군)와 계약을 통해 제품을 개발, 생산, 성능개량, 후속지원 하고 있으며, 각 사업/품목별 국내 시장점유율은 거의 100% 입니다.

군수 수출사업은 국내 개발된 국산 항공기의 수출을 위해 선진 항공업체들과의 치열한 수주 경쟁을 벌이고 있으며, 지속적인 수출경쟁력 제고를 통해 세계 시장점유율을제고하기 위한 노력 중에 있습니다.
민수사업은 항공기 기체구조물 수출이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으며, 기술력 및 원가 경쟁력을 바탕으로 세계시장에서 인정받고 있습니다. 기체구조물 사업의 경우 고객이 요구하는 항공기의 특정 부분에 대한 맞춤형 기체구조물을 개발 및 제작하여 납품하는 사업으로, 사업특성상 제품 단위로 구분이 쉽지 않으며 시장규모 및 시장점유율을산정하기는 어렵습니다. 단, 민항기의 시장 성장 및 생산량 증가에 따라 기체구조물의 국제협력 및 아웃소싱 규모도 동반 성장되므로 점진적인 시장규모 확대 및 수주 증가가 기대됩니다.

 

 

출처 한국항공우주항공 홈페이지

 

(4) 신규개발사업 등의 내용 및 전망

군용기 사업

① 한국형전투기(KF-21) 개발사업
한국형전투기(KF-21) 사업은 2015년부터 2026년까지 약 8조원을 투자하여

공군의 F-4, F-5와 같은 공군 장기운영 전투기 도태에 따른 부족소요 보충과

미래 전장 운용개념에 부합하는 성능을 갖춘 다목적 한국형전투기(KF-21)를

인도네시아와 국제공동연구 개발하는 정부주도의 대형 국책사업입니다.

2015년 12월 28일, 당사는 방위사업청과 KF-X 체계개발 계약을 맺고

2016년 1월 21일 KF-X 체계개발 착수 회의(Kick-Off)를 시작으로

동년 3월 체계요구검토회의(SRR), 12월 체계기능검토 회의(SFR),

2018년 6월 기본설계검토회의(PDR),

2019년 9월 상세설계검토회의(CDR)을 성공적으로 수행하였고,

2021년 4월 9일, 정부기관, 산/학/연, 언론 등이 참여하여

대통령 주관 출고행사(Roll-Out)에서 시제 1호기를 선보였습니다.

시제 1호기 출고 이후 다양한 지상시험과

2022년 6월 최초비행 준비검토회의(FFRR) 등을 통해 안전한 최초 비행이 준비되었음을 확인하였고,

2022년 7월 19일, 최초 비행을 성공적으로 수행하였으며,

9월 28일 국방부장관 주관으로 기념행사를 거행하였습니다.

 

현재, 시제기 6대를 생산 및 지상/비행 시험 중에 있으며,

이와 병행하여 구조시험용 전기체 2대를 제작하여 정적/내구성 지상 구조시험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향후, 지상시험 및 공중비행시험을 거쳐

2026년 6월 체계개발을 완료할 예정이며,

미래 전장환경을 고려하여 High급 전투기(F-35, F-15K)와 합동작전 수행이 가능한 Middle급 전투기로 개발하고

공대공/공대지/공대함 작전 등에 운용할 계획이며,

그동안 T-50 및 FA-50 개발을 통해 축적된 기술을 바탕으로 임무컴퓨터 등을

국내 개발함은 물론 AESA 레이다를 비롯한 주요 항전센서를 국산화하여

향후 독자적 성능개량을 통해 점차 다변화되는 미래 전장환경에 대비할 수 있도록 개발하고 있습니다.

또한, 조종사/정비사 훈련을 위한 훈련체계 개발과 원활한 군수지원을 위한 지원체계 개발도 병행하고 있습니다.

 

출처 한국우주항공 홈페이지

 

한국형전투기(KF-21) 체계개발은 무기체계 연구개발의 특성인 장기간 개발이 소요되고

첨단기술 신규적용에 따른 전력화 일정 준수 및 개발위험 감소를 위해

단계별(Block I / II)로 진화적 개발전략을 적용하여 개발되고 있으며,

당사는 한국형전투기(KF-21) 체계개발사업을 통해 대한민국 공군 전력 증강에 이바지하고,

국가 항공산업을 선도하는 핵심 동력으로 거듭날 것입니다.

 

 

 

출처 한국우주항공 홈페이지

 

우주 사업

 

① 초소형위성체계개발

 

초소형위성체계개발사업은 다수의 영상레이더(SAR)위성,

전자광학(EO)위성과 지상체로 구성ㆍ운영되며,

신속히 획득된 위성 영상정보로 한반도 및 주변해역의 위기사항

감시 및 해양 안보ㆍ치안ㆍ재난 위협의 대비 등에 활용하기 위한

초소형위성체계 개발 및 운영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한국항공우주는 사업영역 확장의 일환으로 초소형위성 사업에 본격적으로 진입하며

New space 트렌드에 대응 가능한 플랫폼 개발과 동시에 이를 활용한 초소형위성 기반의 서비스 시장에 진입할 예정입니다.

 

 

 

 

해외진출

 

(1) 해외진출의 동기 및 기대효과

항공우주산업은 정치적 역학관계나 경제적 효과 등 산업의 특수성으로 인하여

시장 영향력 확대, 경쟁 억제 및 마케팅 자원의 공유를 목적으로

다양한 형태의 국제적 협력사업 형태로 마케팅을 진행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이런 국제 협력사업은 협력 정도에 따라 팀구성협약(Teaming Agreements, 이하 TA)과

합작회사(Joint Venture Company, 이하 JVC)로 구분됩니다.

팀구성협약(TA)을 통해 협력적 마케팅 팀구성부터

국제적 생산 네트워크까지 여러가지 공동 노력을 맺게 됩니다.

합작회사(JVC)는 직접적인 지분참여가 동반되는 강력한 국제적 협력 방식으로

해외업체와 합작하여 합의된 비율대로 출하한 합작회사를 설립하여

협력사업을 공동의 책임으로 진행하게됩니다.

한국항공우주는 국제적 협력을 통한 주요 수출제품의 판매시장 확대를 목표로

해외 선진 항공업체들과 작게는 팀구성협약(TA)부터 크게 합작회사 설립(JVC)까지

다양한 방법으로 적극적인 마케팅 협력활동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세계 항공기 완제기 수출시장은 일부 선진업체들이 지배하는 과점시장의 형태로

후발업체의 독자적인 시장진입은 극히 제한적인 것이 현실입니다.

한편, 한국항공우주의 주력 수출제품(T-50 및 수리온 헬기)의 전세계 소요는

기존 제품의 노후화에 따른 교체소요로 인해 급증할 것으로 예상되며,

최근 개발된 당사의 주력 수출제품들은 최신 기술과 장비를 적용하여

타사 제품 대비 기술적으로 경쟁우위를 지니고 있습니다.

그러므로 당사는 글로벌 시장에서 적절한 마케팅 능력만 수반된다면

상기 목표 시장 선점에 매우 유리한 위치를 차지하게 될 것입니다.

이러한 가운데 당사는 강력한 마케팅 능력 확보를 위해

Lockheed Martin과 Airbus Helicopters 등 글로벌 항공업체와의 전략적 제휴를 통하여

선진업체의 전세계 마케팅 네트워크 및 Know-how를 충분히 활용할 예정입니다.

글로벌 업체와 전략적 제휴를 통한 기대효과는 다음과 같습니다.

출처 한국우주항공 홈페이지


선진 항공업체와의 협력을 통한 성공적인 시장 진입


 ① 기존 완제기 업체와의 파트너 관계 정립을 통한 불필요한 경쟁 억제

 ② 후발업체에 대한 고객 불안감해소를 통해 항공기 및 후속지원에 대한 신뢰성 제고

 ③ 미국이나 프랑스 영향권 국가에 대한 해당국 정부 협력 유도 


완제기 해외수출을 위한 당사의 투자 최소화

 

 ① 선진업체의 전세계 네트워크를 활용하여 당사 자체 마케팅 네트워크 구축을 위한 신규투자 최소화 

 ② 특히, 헬기 등 소량 판매시 기존 선진업체의 네트워크를 활용, 당사 부담을 최소화 하고,

     판매규모에 따른 후속지원 네트워크 최적화 


합작 파트너를 활용하여 당사의 수출 위험도를 최소화

 

 ① 파트너의 마케팅 및 계약협상 Know-how 활용 가능

 ② 고객별 요구도에 따른 신규 개조업무 발생시 양사 간 위험도 분담 가능(비용, 일정, 성능)

 ③ 고객 요구에 따른 오프셋(Off-set) 수행시 파트너와 협력 가능

 

 

 

방산주는 국제정치 배경이 전쟁이라는 시기에 관심을 갖고

주가가 올라가는 기업입니다.
 반갑지 않은 테마지만 한국항공우주가 국내뿐 아니라

국제 시장에서 그만큼 인정받고 있다고 생각합니다.

여러가지 상황을 복합해 기업에 대한 가치와 투자에 대한 생각을 반영시켜 

한국항공우주를 지켜보고 가치를 찾아갈 때 까지 수익을 키워가는것도 좋은 투자 방법은 아닐까 생각해 봅니다. 

 
 

 

항상 구독자분들과 회원분들께 좋은 정보 드리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
매일/매주 실시간 방송으로 구독자님, 회원분들과 
소통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실시간 방송도 참여 하시고 좋은 정보로
주식시장에서 같이 공부 해요
 
일잘하는 기업 미래를 잘 준비하는 기업을 찾는일
주주누나 백곰사령관이 제일 잘하는 일입니다.
함께 공부해 수익내는 성공투자 할 수 있도록
파트너가 되겠습니다.

 

 

https://www.youtube.com/@jjpartners

 

주주누나의 실전투자

#손절 #뇌동매매 #수익실현 #매매노하우 #주린이 #주식초보 #주식기초 #집착 #제태크 #투자 #주식초보 #주식기초 #차트강의 -8000만원의 빚더미에서 가치투자로 인생역전에 성공한 투자자입니다.

www.youtube.com

 

https://www.youtube.com/@futureboy2033

 

백곰 사령관 (Artist of stocks)

10년 뒤 성공한 내가 10년 전 노력하고 있는 나에게 전하는 응원의 메세지

www.youtube.com

 

728x90
반응형
LIST